병자호란 내국사원당 7부-광교산 전투(청 서열11위 돌격대장 양구리 전사) 병자호란 관련 사서 번역

안녕하세요. 길공구입니다.

만주어 내국사원당 1637년 1월분을 연재토록 하겠습니다.

한문 청실록에 비해 세밀한 부분이 있어 소중한 자료라 생각됩니다.

혹 1637년 2월 이후 내국사원당 자료를 소장하고 계신 분은 도움 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묄렌도르프 전사라도 된 자료가 있으면 부탁드립니다.


1636년 11월 25일~12월 30일 만주어 만문노당 1부~65부

1637년 1월 1일~7월 3일 한문 청실록 1부~51부

만주어 삼전도비 번역


1부-쌍령전투

2부-네가 보낸 선전교서 그것이 전쟁을 불러온 것이다!

3부-몽고왕들은 대원황제의 후예인데 너보다 낮더냐?

4부-조선왕 너 여자냐?

5부-평민도 하늘이 올리면 황제가 되느니라!

6부-황제가 오셨으니 몹시 다행! 몹시 다행!


만주어의 한글 발음은 되도록 원음에 가깝게 하겠습니다.

만주어 문법을 이제 갓 배우고 있으며, 사전 보고 번역하는 것이라 오역이 많습니다.
수정할 부분 알려 주시면, 바로 수정하겠습니다.^^

------------------------------------------------------------------------


○ ice duin de. wang jing ni dergi orin bai dubede. han giyan be amasi doofi han giyang ni dalin de ing iliha.
○ 이처 두인 더. 왕 깅 니 더르기 오린 바이 두버더. 한 갼 버 아마시 도오피 한 걍 니 달인 더 잉 일이하.
○ 초 4 에. 왕 경 의 동쪽 20 리의 끝에. 한 강 을 뒤로 건너서 한 강 의 옆 에 영 세웠다.

○ ineku tere inenggi. nikan ilan wang. ujen coohai jalan i janggin jin ioi hoo.
○ 이너쿠 터러 이넝이. 니칸 일안 왕. 우전 초오하이 잘안 이 장긴 진 요이 호오.
○ 같은 그 날. 한족 3 왕. 우전 초오하의 잘안 의 장긴 김 옥 화.

moringga cooha be gajime isinjiha.
모링아 초오하 버 가지머 이신지하.
기 병 을 데려오며 이르렀다.

○ ice nadan de. jirla doo. gung ceng doo juwe goloi dutan dzung bing guwan acafi.
○ 이처 나단 더. 지르라 도오. 궁 청 도오 줘 골오이 두탄 중 빙 구완 아차피.
○ 초 7 에. 전라 도. 충 청 도 2 지방의 도당 총 병 관 만나고.

cooha gaifi wang ni kabuha nan han i hecen de dame jifi. ing ilihabi seme donjifi.
초오하 가이피 왕 니 카부하 난 한 이 허천 더 다머 지피. 잉 일이하비! 서머 돈지피.
군대 가지고 고려 왕 의 포위된 남 한 의 성 에 도우며 와서. 영 세웠다! 하며 듣고서.

enduringge han [ini deo] hoxoi erke cin wang dodo.
언두링어 한 [이니 더오] 호쇼이 어르커 친 왕 도도.
성스러운 한 [그 동생] 화석 예(豫) 친 왕 도도.

amban jergici lakcaha [ujui] gung yangguri efu be cooha gaifi genefi tuwame afabu seme unggihe.
암반 저르기치 랔차하 [우주이] 궁 양우리 어푸 버 초오하 가이피 거너피 투와머 아파부! 서머 웅이허.
암반 초 품 [1등] 공 양구리 어푸 를 군대 가지고 가서 살펴보며 싸워라! 하며 보냈다.

hoxoi erke cin wang. jergici lakcaha [ujui] gung yangguri efu se hese be alifi genefi tuwaci.
호쇼이 어르커 친 왕. 저르기치 랔차하 [우주이] 궁 양우리 어푸 서 허서 버 알이피 거너피 투와치.
화석 예 친 왕. 초 품 [1등] 공 양구리 어푸 등 조서 를 받고 가서 살피니.

abka nimarame farhvn ofi batai cooha ing be getuken saburakv.
압카 니마라머 파르훤 오피 바타이 초오하 잉 버 거투컨 사부라쿼.
하늘 눈내리며 어둡게 되고 적의 군대 영 을 분명히 보지못했다.

uthai cooha be sindafi afabume alin i buten i jakade faidaha cooha be gidame gamafi.
웉하이 초오하 버 신다피 아파부머 알인 이 부턴 이 자카더 파이다하 초오하 버 기다머 가마피.
곧바로 군대를 풀어서 싸우게하며 산 의 기슭 의 곁에 정렬한 군대 를 격파하며 처치하고.

alin i ninggui amba ing de isibuha.
알인 이 닝우이 암바 잉 더 이시부하.
산 의 위의 큰 영 에 이르렀다.

tereci erke cin wang buren burdeme cooha bargiyafi jergici lakcaha [ujui] gung be alin i ninggude jio.
터러치 어르커 친 왕 부런 부르더머 초오하 바르갸피 저르기치 랔차하 [우주이] 궁 버 알인 이 닝우더 죠!
그로부터 예 친 왕 소라고동 불며 군대 거두고 초 품 [1등] 공 을 산 의 위에 오라!

emgi tuwame coohai niyalma be afabume gidaki seme hvlara jakade.
엄기 투와머 초오하이 냘마 버 아파부머 기다키! 서머 훨아라 자카더.
함께 살피며 군대의 사람 을 싸우게하며 격파하자! 하며 부를 적에.

jergici lakcaha [ujui] gung yangguri efu. hoxoi erke cin wang de acaname genere de.
저르기치 랔차하 [우주이] 궁 양우리 어푸. 호쇼이 어르커 친 왕 더 아차나머 거너러 더.
초 품 [1등] 공 양구리 어푸. 화석 예 친 왕 에 만나러가며 갈 때에.

solho i burlaha cooha hadai fiyeren de ukafi bihengge alime gaifi.
솔호 이 부르라하 초오하 하다이 폐런 더 우카피 비헝어 알이머 가이피.
고려 의 도망친 군대 언덕의 틈 에 도망가고 있던자 받으며 가지고.

miyoociyang[mioociyang] sindara jakade. [ujui] gung yangguri efu goifi feye de akv oho.
묘오챵[묘오챵] 신다라 자카더. [우주이] 궁 양우리 어푸 고이피 퍼예 더 아쿠 오호.
조총 놓을 적에. [1등] 공 양구리 어푸 명중하고 상처 에 없게 되었다.

ninju ninggun se bihe.
닌주 닝운 서 비허.
60 6 세 이었다.

[daicing] gurun boo de tusa arame yaya [babai] dain de [ujulame] juleri afame.
[다이칭] 구룬 보오 더 투사 아라머 야야 [바바이] 다인 더 [우줄아머] 줄어리 아파머.
[대청] 국 가 에 이득 만들며 어떤 [곳곳의] 전쟁 에 [앞장서며] 앞에서 싸우며.

amba gung [ambula] ilibuha [gungge amban] bihe.
암바 궁 [암불아] 일이부하 [궁어 암반] 비허.
큰 공 [많이] 세운 [공적 많이] 이었다.


*buten[부턴] : 산기슭


○ 1637년 1월 4일에 왕경(한양)의 동쪽 20리 끝에 한강을 뒤로 건너서 한강의 옆에 영 세웠다.

○ 같은 그날 한족 3왕(공유덕, 경중명, 상가희)과 우전 초오하의 잘안 장긴 김옥화가 기병을 데려오며 이르렀다.

○ 7일에 전라도와 충청도 2 지방의 도당이 총병관과 만나서 군대 가지고 

고려왕(인조)의 포위된 남한성에 도우러 와서 영 세웠다! 하며 듣고서

성스러운 한(홍 타이지) [그 동생] 호쇼이 어르커 친왕 도도와 암반 초품[1등]공 양구리 어푸를 

군대 가지고 가서 살펴보며 싸워라! 하며 보냈다.

호쇼이 어르커 친왕(도도)과 초품[1등]공 양구리 어푸 등이 조서를 받고 가서 살피니

하늘 눈 내리며 어둡게 되고 적의 군대와 영을 분명히 보지 못하고

곧바로 군대를 풀어서 싸우게 하며 산기슭의 곁에 정렬한 (조선) 군대를 격파하며 처치하고 

산 위의 (조선의) 큰 영에 이르렀다.

그로부터 어르커 친왕(도도) 소라고동 불며 군대 거두고 초품[1등]공(양구리)을 산 위에 오라!

함께 살피며 군대의 사람을 싸우게 하며 격파하자! 하며 부를 적에

초품[1등]공 양우리 어푸가 호쇼이 어르커 친왕(도도)에 만나러 가며 갈 때에

고려(조선)의 도망친 군대가 언덕의 틈에 도망가고 있던 자가 맞이하여 조총 쏠 때에

[1등]공 양구리 어푸 명중하고 상처에 죽게 되었다.

66세이었다.

[대청] 국가에 이득 만들며 어떤 [곳곳의] 전쟁에 [앞장서며] 앞에서 싸우며 큰 공 [많이] 세워 [공적 많이] 있었다.


요약.

1637년 1월 4일 남한산성 인근에 도착한 지 6일차 홍 타이지는 본영을 한강 탄천으로 옮긴다.

이날 한족 3왕과 우전 초오하 기병 부대를 인솔한 김옥화가 도착한다.

우전 초오하의 기주는 석정주였는데, 김옥화는 이중 한족 기병을 통솔한 듯싶다.

한족 3왕도 홍이포 16문을 수송하여 왔다.

석정주는 6차 후미군 대장인 두두와 함께 홍이포 18문 등을 수송하고 있었다.

한편 조선 전라도+충청도 근왕병이 온다는 첩보를 입수한 홍 타이지는 도도와 양구리에게 조서를 내려

이를 토벌하라 명한다.

도도의 병력은 1천, 양구리의 병력은 1천5백이었다.

당시 광교산엔 전라도 근왕병의 선봉 김준용의 2천 병력이 포진해 있었다.

광교산에 도착한 도도와 양구리는 눈이 내리고 날이 흐리자 군사를 풀어 광교산의 조선군을 찾았다.

산 밑 기슭에서 조선군과 조우하자 청군은 조선군을 공격하였고 조선군은 패퇴하여 산위로 도주한다.

도도군은 조선군을 쫓아 광교산으로 올라갔고 정상에 포진한 김준용의 본영을 발견한다.

도도는 양구리군과 합병하여 조선군을 공격할 생각으로 소라고둥을 불어 양구리를 소환한다.

도도의 소환령에 산위로 올라가던 양구리는 산밑 전투에서 패퇴하여 산위로 도망치다 언덕 틈새에

매복했던 조선 조총병의 저격을 받아 사망한다.

양구리는 14세에 누르하치를 따라 활약하면서 늘 전투의 선봉을 앞장선 맹장이자 누르하치의 사위로 외척이었다.

누르하치의 5개국 공신이 모두 죽은후 1.5세대 개국공신으로 신하 중에 계급이 가장 으뜸이었으며

심지어 황족들인 버이서들보다도 위였다.

양구리의 전사는 병자호란 최대의 전과로 손꼽힌다.



*이날 기사의 한문 청실록과 만문 내국사원당의 차이점

-청실록

1. 한족3왕과 우전 초오하 김옥화가 화포를 끌고 왔다.

2. 양구리를 저격한 병사는 석굴에 매복


-내국사원당

1. 한족3왕과 우전 초오하 김옥화가 기병을 끌고 왔다.

2. 양구리를 저격한 병사는 언덕 틈에 매복


병자호란 홍이포 수량 파악

광교산 전투 오류 정정(양구리가 주력은 아니었다!)

조선에서 전사한 불곰 양고리의 위상!

병자호란 청 전사 장교 연구(3)청나라 서열

누르하치의 돌격대장 양고리를 평하다!(불곰 같은 장수다!)

청사고 양고리 열전 국역 9부-영원한 돌격대장으로 남다!(완결)

14세에 원수의 코와 귀를 씹어먹은 누르하치의 사위 양고리

병자호란 모든 전투 간략 재구성(24대 전투)


-8부에서 계속-


P.S) 혹 일본학자 하내양홍(河內良弘/카와치 요시히로) 선생의 

     내국사원 만문당안 역주 숭덕 2,3년분(內國史院滿文檔案譯註: 崇德二ㆍ三年分) 관련 정보가 있으시면 

     알려주시면 너무 감사하겠습니다.




메모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