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사고 도도 열전 4부-명의 마지막 희망을 소멸시키다! 송산전투! 청사고 번역

안녕하세요. 길공구입니다. 몇몇 인물들에 대한 열전을 번역하고 있는데요.

오늘은 누르하치의 15남으로 입관을 성공시키고 양주에서 대학살극을 벌인 도도에 대해 알아볼까 합니다.


1부-산해관을 무시하고 북경을 포위하다!

2부-조선은 화친하였으니 침공할 필요가 없나이다.

3부-병자호란 광교산 전투


<인물 열전>

청사고

왕올당, 왕고, 다이샨, 태조 누르하치, 추옝, 슈르하치, 야르하치 

피옹돈, 호호리, 어이두, 안퍙구후르한푸차 군다이

잉굴다이어르더니 밬시양구리보르진특금마심, 캉카라도르곤

송사

한세충이치, 양재흥, 동관[방랍], 채경, 부언경, 곽약사, 반미, 이사사고구송강장방창, 황잠선묘부(유정언)진회

금사

명사

두송 이성량 모문룡

송서

만주팔기씨족통보
 

원문 출처 : https://zh.wikisource.org/wiki/%E6%B8%85%E5%8F%B2%E7%A8%BF/%E5%8D%B7218


사전 보고 번역하는 것이라, 오역이 많습니다.

수정할 부분 알려 주시면, 바로 수정하겠습니다.^^

---------------------------------------------------------------------------

청사고 다탁(多鐸)

五年三月,命與鄭親王濟爾哈朗率師修義州城,駐兵屯田,並擾明山海關外,毋使得耕稼。

五月,上臨視。

附明蒙古多羅特部蘇班岱降,上命偕鄭親王以兵迎之,經錦州杏山,明兵來追,奮擊敗之,賜御廄良馬一。

圍錦州,夜伏兵桑阿爾齋堡,旦,敵至,敗之,追至塔山,斬八十餘級,獲馬二十。

六年三月,復圍錦州,環城立八營,鑿壕以困之。

大壽 城守蒙古將諾木齊約降,師縋以入,擊大壽 ,挈降者出,置之義州。

明援兵自杏山至松山,多鐸與鄭親王率兩翼兵伏錦州南山西岡及松山北嶺,縱噶布什賢兵誘敵,夾擊,大敗之。

洪承疇 以十三萬援錦州,上自盛京馳六日抵松山,環城而營,明兵震怖,宵遁。

多鐸伏兵道旁,明總兵吳三桂 、王樸自杏山奔寧遠,我軍追及於高橋,伏發,三桂 等僅以身免。

嗣與諸王更番圍松山,屢破敵。

七年二月,明松山副將夏承德遣人通款,以其子舒為質,約內應,夜半,我軍梯而登,獲承疇 及巡撫邱民仰等。

敘功,進豫郡王。

復布屯寧遠邊外綴明師,俘獲甚夥。

[숭덕] 5년 3월에, 명(命)하여 정친왕(鄭親王) 제이합랑(濟爾哈朗)과 함께 솔사(率師)하여 

의주성(義州城)을 수(修)하고, 주병(駐兵)하여 둔전(屯田)하게 하였으며, 

아울러 명(明) 산해관(山海關) 외(外)를 요(擾/시끄럽게 함)하게 하여 경가(耕稼/경작)를 득(得)하지 못하게 하였다.

5월에, 상(上)이 임시(臨視)하였다.

명(明)에 부(附)했던 몽고(蒙古) 다라특부(多羅特部) 소반대(蘇班岱)가 항(降)하니,

상(上)이 명(命)하여 정친왕(鄭親王)과 함게 병(兵)으로써 영(迎)하게 하였고,

금주(錦州)와 행산(杏山)을 경(經)하여, 명병(明兵)이 내추(來追)하니, 분격(奮擊)하여 패지(敗之)하였고,

어구(御廄) 양마(良馬) 1을 사(賜)하였다.

금주(錦州)를 위(圍)하였는데, 야(夜)에 상아이재보(桑阿爾齋堡)에 복병(伏兵)하였고,

단(旦/아침)에, 적(敵)이 이르자, 패지(敗之)하여, 탑산(塔山)에 추지(追至)하였고, 

80여급(級)을 참(斬)하였고, 말 20을 획(獲)하였다.

[숭덕] 6년 3월에, 다시 금주(錦州)를 위(圍)하였는데, 환성(環城)하여 8영(營)을 입(立)하였고,

착호(鑿壕)하여 이로써 곤(困)하게 하였다.

조대수(大壽)의 성수(城守) 몽고장(蒙古將) 낙목제(諾木齊)가 약항(約降)하였는데,

군사(師)가 추(縋/끈을 매닮)하여 이로써 입(入)하였고, 조대수(大壽)를 격(擊)하니,

설항(挈降/투항)한 자(者)들이 나오니, 의주(義州)에 치지(置之)하였다.

명(明) 원병(援兵)이 행산(杏山)으로부터 송산(松山)에 이르렀는데,

다탁(多鐸)이 정친왕(鄭親王)과 함께 양익(兩翼)의 병(兵)을 인솔(率)하여 

금주(錦州) 남산(南山) 서강(西岡)과 더불어 송산(松山) 북령(北嶺)에 복(伏)하였고,

갈포십현병(噶布什賢兵)을 종(縱)하여 유적(誘敵)하고는, 협격(夾擊)하여 대패지(大敗之)하였다.

홍승주(洪承疇)가  13만(萬)으로써 금주(錦州)를 원(援)하였는데,

상(上)이 성경(盛京)으로부터 6일을 치(馳)하여 송산(松山)에 저(抵)하고는,

환성(環城)하고 영(營)하였고, 명병(明兵)이 진포(震怖/두려워서 떪)하여, 소둔(宵遁/밤에 달아남)하였다.

다탁(多鐸)이 도방(道旁)에 복병(伏兵)하였고, 명(明) 총병(總兵) 오삼계(吳三桂), 

왕박(王樸)이 행산(杏山)으로부터 영원(寧遠)으로 분(奔)하였는데,

아군(我軍)이 고교(高橋)에서 추급(追及)하여, 복발(伏發)하자, 오삼계(三桂) 등(等)이 간신히 신면(身免)하였다.

계속하여 여러 왕(王)과 함께 경번(更番/차례를 바꿈)하여 송산(松山)을 위(圍)하였고, 누차(屢) 파적(破敵)하였다.

[숭덕] 7년 2월에, 명(明) 송산(松山) 부장(副將) 하승덕(夏承德)이 견인(遣人)하여 

통관(通款/몰래 적에게 실상을 알려줌)하였는데, 그 아들 하서(舒)를 인질(質)로 삼고, 내응(內應)을 약조(約)하였는데, 

야반(夜半)에, 아군(我軍)이 제(梯)하여 등(登)하여, 홍승주(承疇)와 더불어 순무(巡撫) 구민앙(邱民仰) 등(等)을 획(獲)하였다. 

서공(敘功)하여, 예군왕(豫郡王)에 진(進)하였고, 다시 영원(寧遠) 변외(邊外)에 포둔(布屯)하여 명사(明師)를 철(綴)하였고, 

부획(俘獲)이 심과(甚夥/매우 많음)하였다.


1640년 3월에 명하여 호쇼이 우전 친왕 지르가랑과 함께 군을 인솔하여 의주성을 수리하고 주둔병을 둔전하게 하였으며 

아울러 명 산해관 밖을 소란스럽게 하여 경작을 못하게 하였고, 5월에 상이 몸소 가서 보았다.

명에게 붙었던 몽고 돌로트(다라특) 소반대가 투항하니 상이 명하여 호쇼이 우전 친왕(지르가랑)과 함께 군사를 이끌고 

맞이하게 하여 금주와 행산을 경유하였는데 명군이 추격하여 오니 분발하여 공격하여 격파하니 

상이 타는 좋은 말 1마리를 하사하였다.

금주를 포위하였는데 밤에 상아이재보에 매복하였고 아침에 적이 이르자 격파하여 탑산까지 추격하여 80여급을 참하였고 

말 20마리를 획득하였다.

1641년 3월에 다시 금주를 포위하였는데 성을 빙 둘러 8영을 세우고 해자를 파서 이로써 곤란하게 하였다.

조대수의 성을 수비하던 몽고 장수 낙목제가 투항을 약조하였는데 노끈을 타고 군사들이 들어가 조대수를 공격하니

투항하는 자들이 나와 의주에 두게 하였다.

명의 원군이 행산으로부터 송산에 이르렀는데 도도가 호쇼이 우전 친왕(지르가랑)과 함께 양익의 군사를 인솔하여

금주 남산 서쪽 산등성이와 더불어 송산 북쪽 고개에 매복하였고 갑시한 초오하(선봉대)를 보내 적을 유인하여 

협공하고 대파하였다.

홍승주가 13만으로써 금주를 구원하였는데 상이 성경(심양)으로부터 6일을 달려 송산에 이르러

성을 둘러싸고 영을 세우니 명군이 두려워 떨며 밤에 달아났다.

도도가 길 옆에 매복하였고 명 총병 오삼계, 왕박이 행산으로부터 영원으로 달아났는데

아군이 고교에서 추격하여 복병이 일어나자 오삼계 등이 간신히 몸을 피하였다.

계속하여 여러 왕과 함께 교대로 송산을 포위하였고 누차 적을 격파하였다.

1642년 2월에 명 송산 부장 하승덕이 사람을 보내 몰래 실상을 알려주고는 그 아들 하서를 인질로 삼고 내응을 약조하였고,

야밤에 아군이 사다리를 타고 올라 홍승주와 더불어 순무 구민앙 등을 사로잡았다.

공을 평정하여 도로이 어르커 군왕(예군왕豫郡王)으로 올렸고 

다시 영원의 변경 밖에 둔을 치고 포진하여 명군을 막아 획득한 포획이 매우 많았다.


<1636년 3차 북경 포위전에 산해관 루트 공략군 장수로 참가한 도도>


<명나라 최후의 희망을 소멸시킨 송산, 금주 전투>



압도적인 교전비 53783 vs 10 리얼?(송산전투)

송산전투 명군을 향해 조총 5만3천발을 쏜 조선군

명군으로 참전한 몽고족 포로 학살!



요약.

1640년 3월 도도는 지르가랑과 함께 산해관 인근을 돌며 명의 경작지를 파괴한다.

1641년 3월 도르곤이 이끄는 청군이 조대수의 금주를 포위하자 

숭정제는 이자성을 토벌하던 홍승주의 13만 대군을 급히 불러들여 금주를 구원하고 청군을 격파하라 명한다.

이 13만 명군은 그야말로 명나라 최후의 희망이자 모든 것이었다.

방어전 계책이 묵살되고 청군과의 야전을 강요당한 홍승주는 하는 수없이 산해관을 나와 금주로 향하였다.

명 13만 대군이 원군으로 온다는 급보가 8월 심양에 보고되었고 홍 타이지는 급히 병력을 이끌고 6일 만에 금주에 도착한다.

이때 홍 타이지는 3일 동안 코피를 흘릴 정도로 몸이 안 좋았으나

이 일전을 명과의 전쟁을 끝장낼 절호의 기회로 알고 강행군을 펼친다.

홍승주, 오삼계의 13만 대군이 영원성을 나오자 홍 타이지는 

도르곤, 도도, 지르가랑, 탑섬, 이이등에게 2만 5천 병력을 주어 행산과 고교에 매복하게 한다.

송산으로 진군하던 명군을 청군이 급습하자 명군은 일제히 붕괴되었고 오삼계는 영원성으로, 홍승주는 송산으로 도주한다.

이 매복 작전으로 전사한 명군은 53783명이었고, 청군은 부상자 10여 명에 그치는 일방적인 학살전이었다.

송산에 갇힌 홍승주와 금주의 조대수는 결국 청에 투항하여 높은 관작에 올라 창끝을 조국 명으로 돌리게 된다.

한편 이 송산+금주전투(송금지전)를 마지막으로 명은 대규모 야전능력을 완전히 상실하게 된다.

이 전투에서 공을 세운 도도는 어르커 군왕(예군왕)에 봉작된다.


-5부에서 계속-




메모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