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주어 원사 태조 50부-몽고군이 두렵소이까? 전왕에게 부끄럽지 않소? 만주어 원사 태조 번역

안녕하세요. 길공구입니다.

홍 타이지의 명으로 편찬된 만주어 원사 태조 터무진(칭기스 한) 본기를 연재할까 합니다.


1부-시조 보단차르

2부-도움을 준 부족을 공격하자 제안하다!

3부-포악한 손자 며느리 모나룬

4부-마하 투단 일족이 몰살당하다!

5부-계략으로 적의 아들을 죽이다!

6부-피의 복수! 아이들을 모조리 죽이다

7부-보르지긴氏 10대손 예수거이

8부-예수거이 카러디 내전에 개입하다!

9부-안다와 독살! 떠나는 부족민들

10부-3만 대군의 공격을 받다!

11부-용맹한 보르지 사무호 부족을 격파하다.

12부-터무진은 좋다! 주인의 마음이 있다!

13부-터무진은 옷, 말을 준다! 의리가 있다!

14부-용사 보투를 처남으로 삼다!

15부-사람을 얻는데 재물이 무슨 소용이냐?

16부-와난강에서 일족과 연회하다!

17부-이복동생 벌구터이를 공격한 서천부쿠 부족

18부-워이다얼과 안다를 맺다!

19부-아버지의 원수 타타르 추장을 죽이다!

20부-일족 서천 부쿠를 죽이다!

21부-떠도는 커러디 추장 왕 한을 받아들이다

22부-신궁 소오

23부-무후리/보르지/보로굴/치라군 4구르그

24부-몌이리치를 정벌하고 왕 한에게 주다

25부-나이만을 정벌하다!

26부-사무호<터무진은 철새다! 믿지말라!>

27부-다시 구원을 청하는 왕 한을 돕다!

28부-나이만과 타이초트를 학살하다!

29부-아라이(알쿠이) 샘 맹약

30부-형의 모욕에 참지 못하고 도망친 사오한보

31부-주얼 한에 옹립된 사무호!

32부-타타르 섬멸이 먼저다! 약탈에 정신 팔리지 말라!

33부-쿠이텐 전투(1)

34부-쿠이텐 전투(2)

35부-사무호<터무진을 공격하면 돕겠노라!>

36부-터무진은 오라! 혼인을 논의하자!

37부-칼라칼지드 사막 전투!

38부-내 부친 예수거이가 네 나라를 찾아 줬느니라!

39부-굶주리던 너를 배부르게 해준 게 누구더냐?

40부-내 송골매처럼 사냥해서 너에게 바쳤다!

41부-보르지긴의 땅을 타인에게 넘기지 말라!

42부-본거지를 잃고 야생마를 잡아 연명하다!

43부-반주니(발주나) 맹약!

44부-선봉장 워이다얼(쿠일다르) 상처가 터져 죽다!

45부-카사르를 거짓 투항시키다!

46부-커러디 멸망과 왕 한의 죽음!

47부-나이만의 제안을 거부한 웅구트

48부-하늘에 태양이 둘이더냐? 백성에 한이 둘이더냐?

49부-쿠릴타이에서 나이만 정벌을 결의하다!


원사 칭기스 카안

만주어 원사 칭기스 한

신원사 칭기스 칸

성무친정록 칭기스 가한

만주어 몽고원류 칭기스 카간

원조비사 칭기스 칸

신원사 본기 서기


만주어 요나라 태조 아보오지

만주어 금나라 태조 아구다

만주어 청나라 태조 누르가치


출간 : 1639년. 히퍼 dai yuwan gurun i suduri bithe[다이 유완 구룬 이 수두리 빝허/대원국의 역사]

영인본출처 : Chrestomathie mandchou ou recueil de textes mandchou(1828년)


<만주어의 몽고 발음은 코르친 방언을 사용하였습니다. 예) temujin[터무진O][테무진X]>

------------------------------------------------------------------------

<자세히 보실 분은 그림을 클릭하시고 원문보기를 누르세요>

juleri gaifi afara siyai fung obuha.
주러리 가이피 아파라 샤이 풍 오부하.
앞서 취하고 싸울 선 봉 만들었다. 

tereci naiman gurun i tai yang han. an tai gebungge baci cooha axxafi hang hai gebungge bade ing ilifi.
터러치 나이만 구룬 이 타이 양 한. 안 타이 거붕어 바치 초오하 앗샤피 항 하이 거붕어 바더 잉 이리피.
그로부터 나이만 국 의 타이 양 한. 안 타이 이름의 땅으로부터 군대 움직이고 항 하이 이름의 땅에 
영 세우고.

miyei li ci aiman i ejen toto. keredi aiman i ejen alin.
몌이 리 치 아이만 이 어전 토토. 커러디 아이만 이 어전 아린.
몌이 리 치 부족 의 주인 토토. 커러디 부족 의 주인 아린.

ti xi wei la aiman i ejen hv du hvwa. biyei ji. ta lu ban aiman. tatar aiman. hadajin aiman. sa ji u aiman.
티 스 워이 라 아이만 이 어전 후 두 후와. 볘이 지. 타 루 반 아이만. 타타르 아이만. 하다진 아이만. 
사 지 우 아이만.
티 스 워이 라 부족 의 주인 후 두 후와. 볘이 지. 타 루 반 부족. 타타르 부족. 하다진 부족. 
사 지 우 부족.

ere geren aiman i cooha acara jakade. hvsun ambula etuhun.
어러 거런 아이만 이 초오하 아차라 자카더. 후순 암부라 어투훈.
이 여러 부족 의 군대 만날 적에. 힘 많이 강성했다.

tere fonde taidzu temujin i faidan i dorgici emu turha morin urgvfi tuilame naiman gurun i ing de dosika.
터러 폰더 타이쭈 터무진 이 파이단 이 도르기치 어무 투르하 모린 우르구피 투이라머 나이만 구룬 
이 잉 더 도시카.
그 때에 태조 터무진 의 진영 의 안으로부터 1 여윈 말 놀라서 도약하며 나이만 국 의 영 에 들어갔다.

terebe tai yang han sabufi. geren i baru hebexeme hendume.
터러버 타이 양 한 사부피. 거런 이 바루 허버셔머 헌두머.
그를 타이 양 한 보고서. 무리 로 향하여 의논하며 말하길.

monggo gurun i morin enteheme turha.
몽고 구룬 이 모린 언터허머 투르하.
몽고 국 의 말 몹씨 여위었다.

te muse tere be yarkiyame xumin bade dosimbufi. afame jafaki.
터 무서 터러 버 야르캬머 슈민 바더 도심부피. 아파머 자파키!
지금 우리 그 를 유인하며 깊은 땅에 들어가게하고. 싸우며 잡자!

tere gisun de. fejergi jiyanjiyun hvlisubaci jabume.
터러 기순 더. 퍼저르기 쟝쥔 후리수바치 자부머.
그 말 에. 아래 장군 후리수바치 대답하길.

musei nenehe wang. dailara afara bade baturu hvsun i julesi dosire dabala. amasi bedererakv.
무서이 너너허 왕. 다이라라 아파라 바더 바투루 후순 이 주러시 도시러 다바라. 아마시 버더러라쿠.
우리의 이전의 왕. 정벌할 싸울 땅에 용맹 힘 으로 앞서 들어갈 뿐. 뒤로 물러나지않았다.

*durgembi[두르검비] : 소란스럽다, 진동하다, 떨다.
*urgvmbi[우르굼비] : 말이 놀라다, 놀라서 눈을 흘깃거리다.
*tuilambi[투이람비] : 가축이 놀라서 솟구쳐 오르다, 뛰어오르다, 도약하다.
*enteheme[언터허머] : 영원히, 영구히, 영원토록, 매우, 몹씨, 항상.


(쿠빌라이와 제베를) 앞서 취하고 싸울 선봉 만들었다. 
그로부터 나이만 국의 타이양(타양) 한은 안타이(알타이) 이름의 땅으로부터 군대 움직이고
항하이(캉카이) 이름의 땅에 영 세우고 몌이리치(메르키트) 부족의 주인 토토(톡타이),
커러디(케레이트) 부족의 주인 아린, 티스워이라(오이라트) 부족의 주인 후두후와 볘이지(쿠투카 베키), 타루반(두르벤) 부족, 
타타르 부족, 하다진(카타킨) 부족, 사지우(살지우트) 부족, 이 여러 부족의 군대 만날 적에 힘 많이 강성했다.
그때에 태조 터무진의 진영의 안으로부터 한 여윈 말이 놀라서 도약하며 나이만 국의 영에 들어갔다.
그를 타이양(타양) 한 보고서 무리로 향하여 의논하며 말하길
   <몽고국의 말 몹씨 여위었다.
    지금 우리 그들을 유인하며 깊은 땅에 들어가게 하고 싸우며 잡자!>
그 말에 휘하 장군 후리수바치(코리 수바추) 대답하길
   <우리의 이전의 왕(이난차 한)은 정벌하고 싸울 땅에서 용맹과 힘으로 앞서 들어갈 뿐 뒤로 물러나지 않았다.

요약.
1204년 봄 나이만을 침공한 칭기스 한은 쿠빌라이와 제베를 선봉으로 내보낸다.
나이만 타양한은 메르키트, 케레이트, 오이라트 두르벤, 카타킨, 살지우트 잔당들을 모아 연합하여 대항한다.
당시 몽고 진영에서 야윈 말 한 마리가 나이만 진영으로 달려 나갔는데 이를 본 타양한은
몽고군의 힘을 더 빼기 위해 후퇴하여 몽고군을 더욱 끌어들여 지치게 하자 말한다.
이에 장군 코리 수바추는 전왕 이난차 한은 전장에서 뒤를 보인적이 없다고 말한다.

만주어 원사에서는 1204년 봄에 나이만 정벌전이 일어난 것처럼 기록되었으나
원사를 제외한 다른 사서에는 1204년 봄에 양측은 대치만 하다가 후퇴하였고 이해 가을에 전투에 재돌입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한편 코리 수바추는 나이만의 맹장으로 케레이트 옹칸을 죽인 인물이기도 하다.

-51부에서 계속-



메모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