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주어 만문노당 310부-좋은 땅은 한께 바치자! 만문노당

안녕하세요. 길공구입니다.

만문노당은 누르하치의 일대기를 기록한 무권점 만문 사서 [만문원당/구만주당]을 
건륭조에 권점을 넣고 일부 내용을 변경하여 편찬하였습니다.
기 연재했던 내국사원당이 만주의 시조 부쿼리용숀부터 1584년 9월까지만 기록되어 있는데
만문노당은 1607년부터 기록이 시작됩니다.

만주어의 한글 발음은 되도록 원음에 가깝게 하겠습니다.
만주어 문법을 이제 갓 배우고 있으며, 사전 보고 번역하는 것이라 오역이 많습니다.
수정할 부분 알려 주시면, 바로 수정하겠습니다.^^


------------------------------------------------------------------------
<자세히 보실 분은 그림을 클릭하시고 원문보기를 누르세요>


dasabuki seme hendure jakade. manggvltai beile i gisun de.
다사부키! 서머 헌두러 자카더. 망월타이 버이러 이 기순 더.
수리하게하자! 하며 말할 적에. 망월타이 버이러 의 말 에.

han. bufi weilebucina seme henduhe.
한. 부피 워일어부치나! 서머 헌두허.
한. 주고 일하게하려무나! 하며 말했다.

alban i minggan haha be gaifi. na be sacime wehe be efuleme weilefi.
알반 이 밍안 하하 버 가이피. 나 버 사치머 워허 버 어풀어머 워일어피.
공무 의 1천 남자 를 가지고. 땅 을 파며 돌 을 허물며 일하고.

jai geli tere babe sain. han be tekini seme fonjibuha manggi.
자이 걸이 터러 바버 사인. 한 버 터키니! 서머 폰지부하 망이.
다시 또 그 땅을 좋다. 한 을 머물게하자! 하며 묻게한 뒤에.

han tuwanafi.
한 투와나피.
한 보러가서.

mini neneme tembi seme dasaha bade. amba beile tekini.
미니 너너머 텀비! 서머 다사하 바더. 암바 버이러 터키니!
나의 앞서 머문다! 하며 다스린 땅에. 암바 버이러 머물게하자!

jai tembi sehe bade. musei beise i beye isafi sarilara amba yamun araki.
자이 텀비! 서허 바더. 무서이 버이서 이 버예 이사피 사릴아라 암바 야문 아라키!
다시 머문다! 하는 땅에. 우리의 버이러들 의 몸 모이고 연회할 큰 관청 만들자!

amala dasaha bade mini beye teki seme henduhe manggi.
아말아 다사하 바더 미니 버예 터키! 서머 헌두허 망이.
뒤에 다스린 땅에 나의 몸 머물자! 하며 말한 뒤에.

geren beise ambasa hendume.
거런 버이서 암바사 헌두머.
여러 버이러들 암반들 말하길.

han i beye teci. jai majige dasaki seme.
한 이 버예 터치. 자이 마지거 다사키! 서머.
한 의 몸 머물면. 다시 조금 수리하자! 하며.

jai emu minggan niyalma bufi dasabuha.
자이 어무 밍안 냘마 부피 다사부하.
다시 1 천 사람 주고 수리하게하였다.

tere babe dasame wajifi.
터러 바버 다사머 와지피.
그 땅을 수리하며 끝내고.

han i tere ilan boo arara babe futalame wajiha manggi.
한 이 터러 일안 보오 아라라 바버 푸탈아머 와지하 망이.
한 의 머물 3 집 만들 땅을 측량하며 끝낸 뒤에.

amba beile.
암바 버이러
암바 버이러.


*futalambi[푸탈암비] : 측량하다, 측량하여 조사하다.


*wesihun[워신훈] : 동쪽의

*dergi[더르기] : 동쪽

*wargi[와르기] : 서쪽

*wargingge[와르깅어] : 서쪽의.

*wasihvn[와시훤] : 서쪽으로.

*julergi[줄어르기]/juleri[줄어리] : 남쪽.

*julesi[줄어시] : 남쪽으로.

*amargi[아마르기] : 북쪽.

*amasi[아마시] : 북으로, 북쪽으로.


*amargi[아마르기] : 북쪽 / 뒤쪽.

*amasi[아마시] : 이후로, 차후, 이후에, 뒤에, 뒷날 / 뒤로, 도로, 돌려 / 북으로, 북쪽으로

*amaga[아마가]/amaha[아마하] : 뒤의, 나중의 / 뒤에, 나중에.

*amala[아말아] : 뒤, 후 / 뒤의, 뒤에.

*amari[아마리] : 뒤에.

*amasikan[아마시칸] : 좀 뒤의.


*ebsi[업시] : 이쪽, 이곳, 이쪽으로 / 이후, 이래로, 그 뒤로, 그러한 뒤로.

*ejini[어지니] : 뒤에.

*manggi[망이] : 뒤에, 이후, 후에 / 다만, 고작, 기껏해야 / i manggi 와 함께.


*julergi[줄어르기]/juleri[줄어리] : 앞, 앞쪽, 전방 / 남쪽 / 이전.

*julesi[줄어시] : 앞으로, 전방으로, 먼저 / 남쪽으로.

*julesiken[줄어시컨] : 좀 먼저, 좀 앞으로.

*julge[줄거] : 옛, 예전, 옛날


*nenehe[너너허] : 앞선, 이전의, 선두의,

*nenden[넌던] : 앞, 선두, 처음.

*nendembi[넌덤비]/nenembi[너넘비] : 앞지르다, 먼저 하다, 처음으로 하다, 이전에 하다.

*neneme[너너머] : 먼저, 이전에, 우선.


*wargi[와르기] : 서쪽, 오른쪽, 아래.

*wargingge[와르깅어] : 서쪽의.

*wasihvn[와시훤] : 아래로, 아래, 이하 / 서쪽으로            / 오른쪽

*wesihun[워신훈] : 위의, 위쪽의, 높은, 이상의 / 귀한, 존귀한 / 번성한, 흥성한 / 동쪽의

*dergi[더르기] : 동쪽의 / 왼쪽의 / 위쪽의 / 높은, 임금의.

*hashv[하스훠] : 왼쪽, 왼, 좌.

*ici[이치] : 오른쪽 / 쪽, 편, 방향 / 따라서.






    (공무원 1천 명으로 다이샨 형의 땅을) 수리하게 하자!>
하며 말할 적에 망월타이 버이러의 말에
(누르가치)
   <주고 일하게 하려무나!>
하며 말했다.
공무의 1천 남자를 가지고 땅을 파며 돌을 허물며 일하고
다시 또 
   <그 땅을 좋다. 한(누르가치)을 머물게 하자!>
하며 묻게 한 뒤에 한(누르가치) 보러 가서
   <나의 앞서 머문다! 하며 다스린 땅에 암바 버이러(다이샨) 머물게 하자!
    다시 머문다! 하는 땅에 우리 버이러들의 몸 모이고 연회할 큰 관청 만들자!
    뒤에 다스린 땅에 나의 몸 머물자!>
하며 말한 뒤에 여러 버이러들과 암반들 말하길
   <한(누르가치)의 몸 머물면 다시 조금 수리하자!>
하며 다시 1천 사람 주고 수리하게 하였다.
그 땅을 수리하며 끝내고 한(누르가치)의 머물 3집 만들 땅을 측량하며 끝낸 뒤에
암바 버이러(다이샨)


요약
1620년 4월 누르하치는 손자 요토의 청으로 다이샨이 정리한 사르후의 땅에 거처를 마련한다.
이에 다이샨은 버이러들에게 좋은 땅을 달라고 말하였고 버이러들은 나서지 않는다.
이때 망월타이가 공적 인원 1천 명을 파견하여 형 다이샨이 머물 곳을 마련하자 말하고
누르하치가 승낙하여 다이샨이 머물 땅을 정돈한다.
그러나 다시 그 땅을 본 누르하치는 그곳에 거처를 두기로 결정하고
요토가 마련한 곳에 버이러들이 회합할 큰 관청을 만들며
맨 처음 자신의 거처로 정한 곳을 다이샨에게 머무르라고 말한다.
그러나 다이샨은 여전히 불만이 있었다.

-311부에서 계속-



메모장